완두콩 심기, 어렵지 않아요! 완두콩 심는 시기부터 재배법, 수확까지 완벽 마스터!
봄 하면 떠오르는 작물, 바로 완두콩이죠! 병충해도 거의 없고 키우기 쉬워서 초보 농부님들도 부담 없이 도전할 수 있다는 사실! 직접 키운 완두콩으로 밥도 해 먹고, 간식으로도 즐기면 얼마나 맛있게요~? 😋 오늘은 완두콩 심는 시기부터 수확 시기, 그리고 재배법까지 완벽하게 알려드릴게요! 완두콩, 너~무 쉽다!
완두콩, 언제 심어야 좋을까요? 🤔
완두콩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해서 봄, 가을에 심을 수 있어요. 하지만 지역마다 심는 시기가 조금씩 다르다는 점!
- 봄 파종:
- 남부 지역: 2월 하순 ~ 3월 중순
- 중부 및 경기 지역: 3월 중순 ~ 4월 초순
- 북부 지역: 4월 초순 ~ 4월 중순
- 봄에 심으면 5월 말부터 6월 사이에 수확할 수 있어요! 중부, 북부 지역에서는 감자와 함께 심는 경우가 많고, 밭이 녹기 시작하면 바로 심는 게 좋답니다.
- 가을(월동) 파종:
- 남부 지역: 10월 중순 ~ 11월 중순
- 남부 지역에서는 가을에 완두콩을 심어서 겨울을 나고 천천히 자라게 해요. 이렇게 하면 다음 해 봄에 수확할 수 있는데, 봄에 심는 완두콩보다 알이 더 크고 맛도 좋다는 사실! 하지만 중부, 북부 지역은 겨울 추위 때문에 월동 재배가 어렵다는 점, 기억하세요!
완두콩, 어떻게 심어야 할까요? 🌱
- 밭 준비: 완두콩은 물 빠짐이 잘 되는 땅을 좋아해요. 심기 2~3주 전에 퇴비를 넣고 밭을 갈아두면 완두콩이 쑥쑥 자랄 준비 완료! 1평 기준으로 퇴비 5kg 정도가 딱 좋아요.
- 씨앗 파종:
- 파종 깊이: 5cm
- 파종 간격: 15~20cm
- 한 구멍에 2~3알씩 심고 솎아내서 2개만 남겨주세요.
- 발아 온도: 1~3℃ (저온에서도 발아가 가능하다니, 놀랍죠?!)
- 지주대 세우기: 완두콩이 자라면서 덩굴손이 나오기 시작하면 지주대를 세워줘야 해요. 고추 지주대처럼 1m 정도 길이의 지주대를 사용하면 딱 좋답니다. 5포기마다 지주대 1개씩 세우고 끈으로 연결해서 유인줄을 설치해 주세요. 유인줄 높이는 20cm 간격으로 3단 정도 설치하면 완벽!
- 물 주기: 완두콩은 물이 부족하면 꼬투리가 제대로 자라지 못해요. 하지만 너무 과습하면 뿌리가 썩을 수 있으니, 물을 너무 자주 주는 건 피해야 해요! 비 온 후에는 흙이 너무 젖지 않도록 배수에 신경 쓰는 것도 중요하답니다.
완두콩, 언제 수확해야 맛있을까요? 😋
완두콩은 파종 후 80~90일 정도 지나면 수확할 수 있어요.
- 봄 파종: 6월 중순 ~ 7월 중순
- 가을 파종: 다음 해 4월 ~ 5월
- 수확 적기 확인: 꼬투리가 통통해지고 약간 하얗게 변하면 수확할 때가 된 거예요! 꼬투리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면 알이 아주 잘 영근 상태라는 신호! 너무 늦게 수확하면 꼬투리가 딱딱해지니까, 적당한 시기를 놓치지 마세요!
- 수확 방법: 완두콩은 오이처럼 한 번에 다 수확하는 게 아니라, 필요할 때마다 따서 먹는 방식으로 수확하는 게 좋아요. 남은 완두콩은 냉동 보관하면 오랫동안 두고 먹을 수 있답니다.
완두콩 키울 때, 이것만 주의하세요! 🚨
- 연작 금지: 완두콩을 심었던 자리에는 다음 해에 다른 작물을 심어야 해요. 최소 5년 간격으로 재배하는 것이 좋답니다.
- 병충해 예방: 완두콩은 병충해가 적은 편이지만, 너무 빽빽하게 심으면 통풍이 잘 안 돼서 곰팡이병이 생길 수 있어요. 간격을 잘 맞춰 심는 것이 중요해요!
- 기온 관리: 완두콩은 30℃ 이상의 고온에서는 성장을 멈춰요. 여름철 고온기에는 차광막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랍니다.
완두콩,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! 🍽️
완두콩은 밥에 넣어 먹거나, 삶아서 간식으로 즐길 수 있어요. 샐러드에 넣어도 맛있고, 수프나 파스타에 활용해도 굿! 수확한 완두콩은 냉동 보관하면 오랫동안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으니, 넉넉하게 수확해서 냉동실에 쟁여두세요! ^^
자, 오늘은 완두콩 심는 시기부터 수확, 재배법까지 알아봤는데요! 어때요, 완두콩 키우기, 정말 쉽죠?! 올봄에는 직접 키운 완두콩으로 맛있는 요리도 해 먹고, 건강도 챙겨보세요!